반응형 미래주가2 PBR(주가자산 비율)의 모든 것[저평가? 고평가? +미래 주가 구하기, BPS(주당순자산)][주식공부] PBR의 모든 것 PBR 이란? Price to Book-value Ratio, 즉 '주가 자산 비율'이라고 하며 주가(Price)/주당 순자산(BPS)을 말합니다. (BPS란? Bookvalue Per Share, 즉 '주당 순자산'이라고 하며 순자산/발행 주식 수로 나타냅니다.) 이는 주가와 순자산 간의 비율을 분석한 값으로 쉽게 말하자면 기업이 가진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로 평가받고 있는지 분석한 값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즉 값이 낮을수록 주당순자산에 대한 주가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보통 가치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이 PBR의 값이 동일 업종 대비 낮다면 저평가, 높다면 고평가 되어있다고 합니다. 즉, 낮다면 높은 기대수익률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. 다만, PER과 .. 2021. 1. 29. PER(주가수익비율)의 모든 것[저평가? 고평가? +미래 주가 구하기][주식공부] PER의 모든 것 출처 Unsplash PER 이란? Price Earningd Ratio, 즉 '주가수익비율'이라고 하며 주가/주당 순이익을 말합니다. 이는 시장가치(주가)와 기업의 수익 간의 비율에 관한 분석으로 단위당 수익력에 대한 상대적 주가 수준을 말합니다. 쉽게 말해서 주가가 당기순이익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의 몇 배인지를 말하며 이익의 질적 차이에서 PER 값의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즉 값이 낮을수록 주식당 순이익에 대한 주가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보통 가치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이 PER의 값이 동일 업종 대비 낮다면 저평가, 높다면 고평가 되어있다고 합니다. 즉, 낮다면 높은 기대수익률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. 다만, 사양산업은 제외됩니다. 시장규모가 확.. 2021. 1. 29. 이전 1 다음 반응형